사람마다 살아가는 모습이 다르듯
식물 또한 그렇다.
저마다의 독특한 모습과
다양한 생명유지의 방법이 경이롭기까지 하다.
이른 봄, 춘설속에서 만나는 앉은부채의 모습도 아름답지만
한여름 초록의 숲그늘에서 만나는 애기앉은부채의 모습도 아름답더라.
* 아래 자료에는 강원도 이북에 분포한다고 나와있지만
이 친구는 전라북도에서 만났으니 국가의 자료도 수정되어야하는데
게으른 관리들의 행태란 것이...
잎
▶잎은 모두 뿌리에서 나오고 엽병이 길며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대개 둔하며 밑부분은 심장저이거나 심장저 비슷하고 길이 10-20cm, 나비 7-12cm정도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이른 봄 다른 식물이 움트기전에 싹이 돋아 배추잎처럼 큰 잎으로 자랐다가 6월이 되면 지상부가 사라지고 휴면에 들어간다. 8월에 검붉은색의 포엽이 자라고 포엽 안에 꽃이 핀다.
▶이른 봄 다른 식물이 움트기전에 싹이 돋아 배추잎처럼 큰 잎으로 자랐다가 6월이 되면 지상부가 사라지고 휴면에 들어간다. 8월에 검붉은색의 포엽이 자라고 포엽 안에 꽃이 핀다.
열매
열매는 다음해 꽃이 필 때 익는다.
꽃
꽃은 길이 1cm 정도되는 육수화서 1-2개가 지면 가까이에 달린다. 화서는 1-2개가 지면 가까이에 달리며 보우트 같은 검은 자갈색의 포로 싸여 있고 넓은 타원형이다. 잎이 자란 다음에 꽃이 핀다.
뿌리
근경에서 잎이 총생한다.
원산지
한국
분포
강원도 이북의 높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초
*자료출처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